crossorigin="anonymous"> 여름철 낙동강 녹조 원인과 마이크로시스틴의 문제점
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모저모

여름철 낙동강 녹조 원인과 마이크로시스틴의 문제점

by honeynuna1 2024. 8. 19.
반응형

근래 낙동강에서 남조류에 의한 녹조 문제가 심각합니다.

인근 주민들은 오염된 물과 남조류가 만들어내는 유해물질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녹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낙동강 녹조 문제는 한국에서 심각한 환경 문제 중 하나로, 특히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녹조는 남조류(사이아노박테리아, Cyanobacteria)가 과도하게 번식하면서 물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물의 질이 악화되고 생태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낙동강에서 녹조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과 그로 인한 문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낙동강 녹조 발생 원인

 

영양염류 증가: 낙동강 주변 농지와 도시에서 배출되는 비료와 생활하수에는 질소와 인 같은 영양염류가 다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염류가 강으로 유입되면서 남조류의 급속한 번식을 촉진합니다.

 

수온 상승: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인해 수온이 올라가면 남조류의 번식 속도가 더욱 빨라집니다. 고온 환경은 남조류의 생장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유속 저하: 낙동강의 여러 댐과 보(堰)는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하며, 이는 녹조 발생을 촉진하는 요인이 됩니다. 물이 정체된 상태에서는 남조류가 더욱 쉽게 번식할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 장기간 지속되는 폭염과 강우 패턴의 변화도 녹조 발생에 기여합니다. 비가 적게 오면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아지고, 강수 후 영양염류가 강으로 유입되면 녹조 발생이 촉진됩니다.

 

[24년 8월18일 낙동강 녹조 뉴스 기사]

 

[심층] 온통 짙은 녹색으로 뒤덮인 낙동강···2018년 조류 대발생 사태 반복되나 ::::: 기사

[심층] 온통 짙은 녹색으로 뒤덮인 낙동강···2018년 조류 대발생 사태 반복되나

dgmbc.com


2. 녹조로 인한 문제점

 

수질 오염: 남조류가 대량 번식하면서 마이크로시스틴과 같은 독성 물질을 분비해 수질을 오염시킵니다. 이는 식수로 사용되는 낙동강 물의 안전성을 크게 위협합니다.

 

생태계 영향: 녹조로 인해 수중 생태계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고, 이는 물고기와 다른 수중 생물들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녹조가 심해지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보건 문제: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이 포함된 물을 섭취하거나 피부에 접촉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낙동강에서 채취된 수산물도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관 및 경제적 손실: 녹조는 수변 경관을 훼손하고, 관광산업 및 수산업에도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녹조로 인해 강 주변의 휴양지나 낚시터 등의 이용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3. 마이크로시스틴이란?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은 남세균(사이아노박테리아, Cyanobacteria)인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속의 미생물이 생성하는 독성 물질입니다.

 

주로 담수(호수, 저수지, 강)에서 발견되는 조류(藻類)인 남조류의 대규모 번식(조류 대발생, Algal bloom) 동안 생성됩니다.

 

4. 마이크로시스틴의 특징과 영향

 

1) 독성

 

마이크로시스틴은 간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입니다.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유해하며,

주로 간에 축적되어 간세포를 손상시킵니다. 장기간 노출 시 간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인체 노출 경로

 

오염된 물 섭취: 마이크로시스틴이 포함된 물을 마시면 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오염된 음식 섭취: 마이크로시스틴에 오염된 물고기나 조개류를 섭취할 때도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부 접촉: 마이크로시스틴이 포함된 물과 접촉하면 피부 발진이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마이크로시스틴 노출 증상 

 

마이크로시스틴에 노출되어 나타날수 있는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급성 증상: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간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노출: 장기간 노출되면 간 기능 장애, 간경변, 간암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예방 및 관리

 

조류 경보 시스템: 조류 대발생이 예상되거나 발생한 지역에서는

물 섭취와 수산물 섭취를 피하도록 경보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정수 처리: 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활성탄 처리, 오존 처리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남조류 대발생이 있는 지역에서는 물과 수산물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반응형